공지사항
질문과 답변
명예의 전당
자유 게시판
소통의 창
자주 질문하는 FAQ
학습프로그램 설치
동영상문제 SOS
 
 
작성일 : 15-03-13 17:12
 
[10주] 2일차 7번 (김시현)
 Write    닻별                                        Hit     764

설명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보기> 00대학교는 새로운 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그 학문의 명칭을 사용한 학과를 설치했다는 내용이다. 즉, <보기>의 로봇공학과나 분자생물학과는 새로운 학문의 출현으로 만들어진 학과이다. 학문의 명칭과 학과 명칭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니, 이와 유사한 지문의 산업 분류 유형을 찾아봐야겠지.

 

<지문> 

한편, 기술이 진보한 결과 새로운 기술 영역이 출현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등장한 기술 영역은 신속한 실용화의 요구 때문에 그대로 새로운 산업으로 형성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정보 기술에서 비롯된 정보 기술 산업은 이미 핵심적인 산업으로 자리 잡았고, 바이오 기술, 나노 기술, 환경 기술 등도 미래의 유망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4문단에서 기술이 진보한 결과로 새로운 기술 영역이 출현하는 경우, 새로운 기술 영역은 그대로 새로운 산업을 형성한다고 했다. 새롭게 등장한 기술 영역이 새로운 산업의 명칭이 되는 것.

 

그렇다면 <보기>의 예와 비슷한 산업 분류 유형은 ‘기술 영역을 중시하는 관점’이 되겠지. 답은 ④번.

 

이런 문제는 <보기>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지문과 연결시켜야 풀 수 있다. <보기>는 로봇공학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로봇공학과를 신설했고, 분자 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분자생물학과를 만들었다는 말이잖아. 4문단의 ‘예를 들어 정보 기술에서 비롯된 정보 기술 산업은~’이라는 문장이 <보기>의 내용과 정확히 맞아떨어지지. 기술의 진보 결과 새로운 기술 영역이 출현하는 경우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지.


 

Total 1,545

No.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365 [10주] 2일차 7번 (장재원) 닻별 03-18 816
1364 [10주] 1일차 8번 / 닻별 1회 모의 16번 (김지수) 닻별 03-18 762
1363 [11주] 3일차 #3, #9, (신나리, 이원경) 닻별 03-18 818
1362 [11주] 2일차 #5, 3일차 #10, 4일차 #10 (안성재, 남새얀) 닻별 03-18 698
1361 [11주] 4일차 #10 (조주연, 이준용, 김다예) 닻별 03-18 1114
1360 [11주] 3일차 (이유니) 닻별 03-17 815
1359 [11주] 4일차 (박시원) 닻별 03-17 923
1358 [11주] 5일차 (조영준) 닻별 03-17 1217
1357 [11주] 4일차 (예성현) 닻별 03-17 811
1356 [11주] 3일차 / 4일차 (이동욱) 닻별 03-17 1079
1355 [11주] 1일차 / 2일차 (윤지원) 닻별 03-17 915
1354 [10주] 3일차 2번 / 5일차 2번 (장효정) 닻별 03-15 531
1353 [10주] 1일차 8번 / 3일차 3번 / 5일차 9번(김다예) 닻별 03-15 569
1352 [10주] 3일차 3번(임지현) / 5일차 1번, 6번 (김윤상) 닻별 03-15 1058
1351 [10주] 3일차 7번(최보민) 닻별 03-15 742
1350 [10주] 4일차 9번 (김예진, 김세중, 조영준, 윤지원, 지승환, 김소정, 이은지, … 닻별 03-13 777
1349 [10주] 5일차 3번, 6번 (신나리) 닻별 03-13 939
1348 [10주] 3일차 3번, 4일차 9번 (조성호) 닻별 03-13 767
1347 [10주] 2일차 7번 (김시현) 닻별 03-13 765
1346 [10주] 4일차 9번 (이연수, 조주연, 김시현) 닻별 03-13 86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