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121쪽 4번 ④ 왜 긍정의 의도인지
④ ㉠은 ㉡과 달리 상대방의 발화 내용에 대한 긍정의 의도를 담고 있다.
문제를 다시 살펴 보자. 발표 내용을 고려해서 ㉠, ㉡에 대해 판단해야 한다.
[지문]
(고개를 끄덕이는 청중을 보며) 때마침 뭔가를 알겠다는 몸짓 언어를 사용하시고 계시네요. 대부분 긍정이나 수긍의 의미로 고개를 끄덕이시지요? 그럼 반대로 고개를 가로 젓는 행동은 어떻게 이해하고 계신가요? 네, 거부나 부정이지요? 하지만 인도에서 고개를 가로젓는 행동은 오히려 긍정이나 수긍의 의미랍니다. 의외이지요?
지문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긍정이나 수긍의 의미이고, 고개를 가로 젓는 행동은 거부나 부정의 의미라고 했다.
하지만 인도에서는 고개를 가로젓는 행동이 부정의 의미가 아니라 긍정이나 수긍의 의미로 사용한다고 나와 있다.
[보기]
정훈: 요즘 수업을 듣다가 잠시 졸았는데 수업이 끝나 있는 경우가 많아. 내 의지대로 안 되는 게 너무 많은 것 같아.
혜지: (㉠고개를 끄덕이며) 그래, 정말 걱정되겠다. 그런데 학교 끝나고 집에 가서는 뭐 하는데?
정훈: 남들과 같지 뭐. TV도 잠깐 보고, 게임도 조금 하고.
혜지: 네 걱정을 풀어 줄 열쇠가 네 안에 있는 것 같은데?
===========================
한국 기업인: 귀사에 납품하던 제품의 주원료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게 되었습니다.
인도 기업인: (통역 내용을 들은 뒤 ㉡고개를 가로젓는다.)
한국 기업인: 아까부터 자꾸 안 된다고만 하시는데 저희는 이해할 수 없군요. 예전 가격으로 계속 거래하면 우리 회사의 손해만 커집니다.
보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은 혜지가 정훈의 말에 공감하는 긍정의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생각하면 부정의 의미겠지만, 고개를 가로젓는 사람이 인도인이다. 즉, 통역 내용을 들은 뒤 고개를 가로젓는 ㉡의 행동에는 긍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다만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한국 기업인이 인도인의 고개를 가로젓는 행위를 부정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과 ㉡은 모두 긍정의 의도를 담고 있기 때문에 ④번 선택지는 적절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