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하영
3일차 8-11번 지문독해 어려워요.
항상 이 지문에 무엇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지 화제를 분명하게 찾자.
이 지문은 기존 기술과 새로운 기술의 경쟁과 대체 과정을 S곡선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후에는 S곡선 이론에 대한 설명이 이어지겠지?
시장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는 기존 기술은 처음에는 가파르게 상승하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완만하게 상승한다. 경쟁 기술이 처음 등장할 때 기존 기술은 성숙기에 다다른 상태로, 경쟁 기술은 조악한 편이며 미해결 문제도 많이 남아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경쟁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게 되고 특정 지점에 이르면 경쟁 기술이 기존 기술을 추월하게 된다.
지문에 나온 그림은 S곡선 그래프로, 지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준다.
S곡선 이론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T1 지점 : 기존 기술 (성숙기) / 경쟁 기술 (조악한 상태)
? 시간이 흐르면서 초기 문제 해결
T2 지점 : 경쟁 기술이 기존 기술의 수준과 원가를 모두 따라잡고 주역을 차지함.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지?
뒷부분에 나오는 사진 기술이나 엔진 기술의 예는 S곡선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니까, 모든 정보를 정리하려고 하기 보다는 사례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정리하며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