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 유진우
실전 모의고사 3회. #15.
[확인사항]의 내용을 참고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 따라 주어진 단어의 띄어쓰기를 적절하게 고치는 문제이다.
㉠ 살아가다 - 사전에 표제어로 실림 -> 하나의 단어
㉡ 받아가다 - 사전에 표제어로 실리지 않음, 단어와 단어의 결합.
'-아'를 '-아서'로 바꿀 수 있음. -> 본용언 + 본용언 => 띄어 쓰는 것만 허용 (받아가다)
㉢ 닮아가다 - 사전에 표제어로 실리지 않음, 단어와 단어의 결합
'-아'를 '-아서'로 바꿀 수 있음. -> 본용언 + 보조 용언 => 붙여 쓰거나 띄어 쓸 수 있음 (닮아가다 or 닮아 가다)
[확인사항]의 내용에 단어와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며,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나와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어인 '살아가다'로 붙여 쓰고, 본용언+본용언 구성인 '받아가다'는 띄어 쓰는 것만 허용. 본용언+보조 용언 구성인 '닮아가다'는 붙여 쓰거나 띄어 쓸 수 있다. 정답은 1번.
실전 모의고사 3회. #16
양성모음, 음성모음 차이
양성모음은 밝고 가벼운 느낌을 주는 모음이고, 음성모음은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주는 모음이다.
우리말 모음 중에 'ㅏ, ㅗ' 계열을 양성 모음이라고 하고, 'ㅓ, ㅜ' 계열을 음성 모음이라고 한다.
즉, 'ㅏ, ㅗ, ㅑ, ㅛ, ㅐ, ㅒ, ㅘ, ㅚ, ㅙ' 등은 양성 모음이고, 'ㅓ, ㅜ, ㅕ, ㅠ, ㅔ, ㅖ, ㅝ, ㅟ, ㅞ, ㅡ, ㅢ' 등은 음성 모음이다.
안국 박종우
담화표지란?
담화표지란 담화에서 특정한 역할을 함으로써 집중, 내용 구별, 내용 정리, 기억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
예고 : 오늘은 ~를 배우겠습니다.
강조 :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요약 : 정리하자면,
예시 : 예컨대, 예를 들면
열거 : 첫째, 둘째,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