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과제1 #10.
③ 밭에서-밭이
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지 않나요?
응.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바로 연음되거든.
형태소는 수업 시간에 배웠지? 더이상 나누면 뜻을 잃어버리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야.
이때 ‘뜻’은 문법적 의미도 포함해.
형태소를 분류할 때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나눌 수 있어.
‘먹다’에서 ‘먹-’은 음식을 먹는 구체적 의미가 떠오르지?
이렇게 구체적인 대상, 상태, 동작을 나타내는 실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면 실질 형태소.
문법적 의미를 지니면 형식 형태소라고 하는 거야. ‘-다’는 종결의 의미를 나타내니까.
#7 문제 보기를 참고하자.
<보기>의 기준에 따라 선지의 단어들을 분류하면,
1. 실질+실질
옷 아래[옫 아래-오다래] : 음절의 끝소리 현상 → 연음
2. 실질+자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옷부터[옫부터-옫뿌터], 옷 속[옫 속-옫 쏙] : 음절의 끝소리 현상 → 된소리 되기
3. 실질+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
옷이[오시], 옷으로[오스로] : 연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