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고사 1회. #34
선지가 다 맞는 거 같아요.
[3문단]
일반적으로 매복형 육식동물은 양쪽 눈으로 초점을 맞춰 대상을 보는 양안시로, 각 눈으로부터 얻는 영상의 차이인 양안시차를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재구성하면서 물체와의 거리를 파악한다.
[5문단]
초식동물은 한쪽 눈으로 초점을 맞추는 단안시여서 눈의 위치가 좌우로 많이 벌어질수록 유리하다. 두 시야가 겹쳐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영역은 정면뿐이지만 바로 뒤를 빼고 거의 전 영역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형 육식동물, 초식동물 모두 두 눈을 통해 입체 영상을 얻으니까 ⑤번은 적절하지 않아.
모의고사 1회. #15. -현대 국어도 ‘을’이 사용된다고 생각해서
③ ㉢을 보니 현대국어와 달리 목적격 조사 ‘을(아래아)’이 사용되었군.
→ 현대국어는 목적격조사 ‘을’을 쓰지만, 중세국어는 ‘을(아래아)’을 쓰니까. ‘을’과 ‘을(아래아)’은 달라.
⑤ ㉤을 보니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청자를 높이는 특수어휘가 사용되었군.
→ 객체를 높일 때 현대국어에서는 특수 어휘(여쭈다)를 쓰는데, 중세국어는 선어말어미(잡(아래아))를 쓰고 있어.
한글 옛글자가 깨져서 고어는 (아래아)로 적었어.
조현이는 기본 문법 개념은 알 것 같아서 간단하게 설명했는데, 혹시 어려운 개념이 있으면 샘한테 문자 보내~